본문 바로가기

정렬5

[빅분기 실기] 판다스 (pandas) 데이터 추가, 변경. 정렬 1. 데이터 추가 및 변경1-1. 결측치(NaN) 대입import pandas as pddf = pd.read_csv('cafe.csv') # cafa.csv 만드는 방법 참고 https://kdh9797-devwiki.tistory.com/77df.head()  '원산지'라는 새로운 컬럼을 만들고 데이터는 '값없음'을 의미하는 NaN (Not a Number)을 대입한다.NaN (결측치) 이 있는 데이터를 만든다. NaN은 numpy 라이브러리를 통해 만들 수 있다. ※ 넘파이 (numpy)파이썬 라이브러리로 빠르게 수치 연산하는 것이 특징이다.연산량이 많은 딥러닝에서 주로 사용한다. 결측치가 있는 데이터셋을 만들기 위해 넘파이 라이브러리를 불러오고, 원산지 컬럼에 np.nan을 대입한다. impor.. 2024. 11. 9.
[Python] - 객체 정렬, 등수 표현, 객체 정렬 문제 풀이 (정보 정렬, 좌표 거리, 정렬된 위치 탐색) 1. 객체 정렬 시 등수 표현 - 국어, 수학, 영어 점수를 가진 학생 정보가 주어진다. - 총합이 높은 순서로 정렬할 때, 1등부터 n 등까지 등수에 해당하는 학생의 번호를 출력한다. - 총합에 따라 내림차순 정렬이 되면서 학생의 번호도 같이 움직인다. - 정렬 후 등수에 해당하는 번호를 출력한다. - 객체에 학생 번호에 해당하는 멤버 변수를 추가한다. - 등수별 학생의 번호를 출력하기 위해 index를 출력하는 enumerate 함수를 사용한다. - start 값으로 시작 index 값을 설정할 수 있다. Class 이용 class Student: def __init__(self, kor, math, eng, num): self.kor = kor self.math = math self.eng = en.. 2023. 9. 22.
[Python] 우선 순위 객체 정렬, 다양한 조건의 객체 정렬 - class, tuple, lambda, cmp_to_key 1. 우선순위 객체 정렬 1-1. 클래스를 이용한 객체 정렬 - 학생들의 국어, 수학, 영어 점수가 있을 때, 수학 점수를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. - 만약 수학 점수가 같다면, 국어 점수를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. - 이처럼 우선순위를 갖는 경우에는 lambda 함수의 반환값을 tuple 값으로 정의해준다. print((3,5)>(2,8)) print((3,5)>(3,7)) print((3,5)>(4,2)) True False False - 위와 같이 tuple끼리 비교하면 첫 번째 값을 기준으로 먼저 비교한다. - 첫 번째 값이 동일하다면 두 번째 값을 기준으로 비교를 한다. - 값이 2개뿐만 아니라 여러 개일 때도 마찬가지이다. class Student: def __init__(sel.. 2023. 9. 14.
[Python] 객체 정렬 - 클래스, 튜플 객체 정렬. lambda. 오름차순. 내림차순. 문자열 사전순 1. 클래스를 이용한 객체 정렬 ● 국어, 수학, 영어 점수를 포함한 학생 정보가 주어졌을 때, 국어 점수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을 하기 - key라는 인자에 정렬 기준을 정의해 주는 함수를 넘겨줘야 한다. - 국어 점수 오름차순이라는 간단한 정렬 기준인 경우 익명 함수 lambda를 사용한다. - lambda는 이름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함수이다. ● 예를 들어 값에 2배를 하여 반환하는 함수는 다음과 같다. def f(x): return x*2 print(f(5)) 결과 10 - 이를 lambda를 이용해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. f=lambda x:x*2 print(f(5)) 결과 10 - 위와 같이 인자 값이 하나인 경우 lambda 뒤에 x를 적어 주고, : 뒤에 반환한 값을 적어준다. 여기서 .. 2023. 2. 11.
[Python] 정렬 - 숫자, 문자열, 문자열 리스트, 오름차순 및 내림차순 1. 숫자 - sort() : 리스트의 원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. arr=[15,64,32,78,36,98,22] arr.sort() print(arr) 결과 [15, 22, 32, 36, 64, 78, 98] - 내림차순으로 정렬 : sort(reverse=True) arr=[15,64,32,78,36,98,22] arr.sort(reverse=True) print(arr) 결과 [98, 78, 64, 36, 32, 22, 15] - sorted() : 정렬된 리스트를 반환한다. - 정렬 후의 리스트를 변수에 할당해야 한다. arr=[15,64,32,78,36,98,22] sort_arr=sorted(arr) print(sort_arr) 결과 [15, 22, 32, 36, 64, 78, 98] - .. 2023. 1. 29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