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91

if 조건문 1. if 조건문의 포맷 if 조건: 조건이 참일 경우 수행되는 코드 작성 - if를 선언한 위치에서 특정 칸만큼 들여 쓰기(공백 4칸 (tab))를 한 상태로 전부 작성 a=int(input()) if a>100: a+=10 print(a) a-=20 print(a) 결과 >> 120 130 110 >> 80 80 - 위와 같이 마지막에 있는 print와 if는 같은 위계에 놓여있기 때문에 if 조건과 상관없이 항상 실행 2. 비교 연산자 조건 True False a>b a가 b보다 큰 경우 a가 b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a>=b a가 b보다 같거나 큰 경우 a가 b보다 작은 경우 a 3 odd >> 4 even - 정수 a가 n의 배수 판단 => n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인지 판단 a=int(input.. 2022. 9. 12.
연산자 1. 연산 종류 덧셈 + 뺄셈 - 곱셈 * 나눗셈 / (실수 값으로 받음.) 나눗셈 몫 // 나눗셈 나머지 % 제곱 형태 ** a,b=10,6 print(a+b) print(a-b) print(a*b) print(a/b) print(a//b) print(a%b) print(a**b) 결과 16 4 60 1.6666666666666667 1 4 1000000 ※ / 연산 주의사항 - 결과가 정수 값이라도 항상 결과는 실수 형태. - 결과를 정수로 받으려면 int()로 감싸준다. a=6/3 print(a) print(int(a)) 결과 2.0 2 ※ 정수 + 실수 = ?? - 연산 계산 시 type은 더 큰 범위를 따라감. - 정수와 실수를 계산하면 실수가 됨. a=6/3 b=5 print(a+b) 결과 a.. 2022. 9. 11.
입력 1. input() 함수 사용하기 - input()이라는 함수를 사용해 한 줄 단위로 입력받을 수 있다. - type은 문자열(str). a=input() print(f'My name is {a}') 결과 >> Tom My name is Tom ex) 숫자를 입력하여 1을 더할 경우 => input()을 int형으로 감싸준다. a=int(input()) print(a+1) 결과 >> 5 6 Q) 길이 단위 환산하기 실수 피트(ft)를 입력받아 cm로 환산 후, 첫째 자리 반올림하여 출력 (1피트(ft) = 30.48cm) a=float(input()) print(f'{a*30.48:.1f}') 결과 >> 52.68 1605.7 2. 공백을 사이에 두고 입력 - split() 함수 사용 => 문자열을 특정.. 2022. 9. 10.
변수 활용 1. 변숫값 교체 a,b=1,2 print('A',a,'B',b) a=b print('A',a,'B',b) a=5 print('A',a,'B',b) 결과 A 1 B 2 A 2 B 2 A 5 B 2 위와 같이 변수 a의 값에 다른 변수 b에 값을 가져와 넣을 수 있다. 2. 변수값 교환 2.1 temp 이용 - temp라는 추가 변수를 사용하여 두 변수 값을 교환 a,b=1,2 temp=a a=b b=temp print(a,b) 결과 2 1 2.2 쉼표 , 를 이용하여 교환 a,b=1,2 a,b=b,a print(a,b) 결과 2 1 3. 변수 복사 ex) 변수 c 값을 변수 a, b에 동시에 복사 = 연산을 chain 형식으로 작성 a,b,c=1,2,3 a=b=c print(a,b,c) 결과 3 3 3 .. 2022. 9. 9.
출력 형식 1. 변수 포맷과 % 사용 %s - 문자열 %c - 문자 %d - 정수 %f - 실수 a=5 print('A is %d' %a) 결과 더보기 A is 5 b='apple' print('B is %s' %b) 결과 더보기 B is apple 2개 이상의 변수를 한 문자열에 넣기 위해, 소괄호 ()로 감싸 순서대로 변수 나열 a,b=5,'apples' print('There are %d %s' %(a,b)) 결과 더보기 There are 5 apples 2. format 함수 사용 - 직접 변수의 type을 명시하지 않음 - 다만 순서 또는 이름을 명시. 원하는 변수를 포맷에 맞춰 넣음. - 문자열 내 변수를 사용할 위치에 중괄호 {}로 감싸줘야 함. 숫자를 적게 되는 경우 format 함수에 적게 되는 변.. 2022. 9. 9.
변수 1. 변수란?? - 어떤 값을 담을 수 있는 공간 2. 변수 선언 - 우측에 해당하는 값이 좌측으로 대입. ex) a=10 a라는 변수에 10이라는 숫자가 들어감. a=10 print(a) 결과 10 a를 출력하면 10이라는 값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. 3. type() - 자료형 확인 - 변수는 문자열 또는 실수 값을 담을 수 있다. b='apple' c=3.1415 - type()을 사용하면 자료형을 확인할 수 있다. b='apple' c=3.1415 print(type(b)) print(type(c)) 결과 더보기 4. 변수의 사칙연산 - 정수형, 실수형에 해당하는 변수들끼리 사칙연산(더하기, 빼기, 곱하기, 나누기) 가능 a=5 b=10 c=a+b print('c = ',c) 결과 더보기 c = 1.. 2022. 9. 7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