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파이썬(Python)58

[Python] 변수 - Mutable vs Immutable immutable type : tuple, string, int, bool 등 mutable type : list, dict 등 1. immutable def swap(a,b): a,b=b,a print(a,b) n,m=1,2 swap(n,m) print(n,m) 결과 2 1 1 2 - immutable 변수가 함수의 인자로 넘어가게 되면, 변할 수 없는 특성 때문에 변수가 갖고 있던 값을 복사하여 값을 넘겨주게 된다. - int형 변수인 n, m이 함수 인자로 넘어간 것이 아닌 n, m 값이 a, b에 복사되어 넘어가게 된 것이다. - 함수 안에서 a, b 값은 바뀌게 되어 출력했지만 함수를 빠져나오고 n, m은 변화가 없으므로 그대로 출력된다. - 함수를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다. def sw.. 2023. 1. 13.
[Python] 함수 - return 반환 값을 이용한 예제 프로그램 작성 (연산, 연속 부분 수열, 날짜 및 날씨) Q) 연산 함수 - 연산 6개의 함수 +, -, *, /, %, ^ 를 작성. - 2개의 정수와 1개의 연산자를 입력 - 연산 결과는 정수로 출력 def plus(a,b): return a+b def minus(a,b): return a-b def multiple(a,b): return a*b def divide(a,b): return a//b def modular(a,b): return a%b def square(a,b): return a**b def operator(a,o,b): if o=='+': return plus(a,b) if o=='-': return minus(a,b) if o=='*': return multiple(a,b) if o=='/': return divide(a,b) if o==.. 2023. 1. 4.
[Python] 함수 - return 값 반환. 기본값 설정. asterisk 1. return - 함수가 값을 반환하기 위해 사용. def add(a,b): return a+b a,b=map(int,input().split()) sum_val=add(a,b) print(sum_val) - add 함수는 두 수의 합을 반환하는 함수. - add 함수를 호출 이후 입력한 두 수의 합을 sum_val 변수에 넣어 출력. Q) 1부터 N까지 합 - 정수 n을 입력하면 1부터 n까지 더한 값을 반환하는 함수 작성. def sum1toN(n): sum_val=0 for i in range(1,n+1): sum_val+=i return sum_val n=int(input()) print(sum1toN(n)) 결과 >> 10 55 2. 기본값 인자 설정 - 함수에 설정한 인자 개수와 실행할 때.. 2023. 1. 3.
[Python] 함수 - 기본 사용법 및 출력 1. 함수의 정의 - 원하는 목적이 있고, 목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하나의 도구 - 함수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def을 사용 def 함수이름(): 코드 작성 ex) 별 10개를 n 줄에 걸쳐 반복하여 출력하기 ********** ********** ********** 1) 함수를 사용하지 않을 때 n=int(input()) for i in range(n): print('*'*10) 2) 함수를 사용할 때 def print_stars(): print('*'*10) n=int(input()) for _ in range(n): print_stars() 2. 함수 - 인자 - 함수를 이용하여 가변적인 값이 주어졌을 때 사용. - 인자는 소괄호 사이에 원하는 변수 이름을 작성 def 함수이름(인자): 코드 .. 2022. 12. 29.
문자열 변환 1.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 - int() 함수로 감싸준다. a='123' a=int(a)+1 print(a) Q) 붙여서 합하기 - 숫자 a, b를 입력 - a와 b를 붙인 ab와 바꿔 붙인 ba의 합을 구하기 a,b=input().split() ab=a+b ba=b+a print(int(ab)+int(ba)) 결과 >> 123 456 579579 - 두 숫자 123, 456을 각각 이어 붙인 123456과 거꾸로 붙인 456123의 합을 구하면 579579이다. Q) 정수만 추출하여 더하기 - 알파벳과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두 개 입력 - 각 문자열에서 숫자만 추출하여 붙인 후 두 수를 더한 값을 출력 a=input() b=input() a_num,b_num=str(),str() for i in a.. 2022. 12. 24.
문자열 회전, 아스키 코드 1. 문자열 밀기 - 문자열을 오른쪽으로 한 칸 밀어주기 => 가장 오른쪽에 있는 문자는 가장 왼쪽으로 온다. - 예) apple -> eappl s='apple' print(s[-1]+s[:-1]) 결과 eappl Q) 문자열 회전하기 - 문자열을 입력 - 문자열을 출력 후 다음과 같은 과정을 실행 - 문자열을 오른쪽으로 한 칸씩 밀어서 결과를 출력 -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하여 처음 입력한 문자열과 동일하면 출력하고 프로그램 종료 s=input() print(s) for _ in range(len(s)): s=s[-1]+s[:-1] print(s) 결과 >> apple apple eappl leapp pleap pplea apple Q) 문자열 순환 프로그램 - 문자열과 자연수 n을 입력 - n개의 질.. 2022. 11. 10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