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91

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아키텍처 (2) DBMS 언어 ● 데이터 정의어(DDL : Data Definition Language) - 개념 스키마와 내부 스키마를 정의 ● 저장구조 정의어와 뷰 정의어 - 어떤 DBMS에서는 저장구조 정의어(SDL : Storage Definition Language)를 사용하여 내부 스키마를 나타내고, 뷰 정의어(VDL : View Definition Language)를 사용하여 뷰를 명시하거나 개념 스키마 사이의 사상을 나타냄 ● 데이터 조작어(DML : Data Manipulation Language) - 데이터를 검색, 삽입, 삭제, 수정하기 위한 조작 언어 (CRUD) - DML 명령어는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고, 이때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호스트 언어라 하고, 삽입된 DML 명.. 2022. 10. 5.
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아키텍처 (1) 데이터 모델 ● 데이터 모델 - 데이터 타입, 관계, 제약 조건들을 명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개념들의 집합 -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과 갱신을 수행하는 기본 연산들의 집합을 포함 ● 점차 DB 응용의 동적 측면 또는 행동이 데이터 모델에 포함됨 - 사용자 정의 연산(user defined operation) 데이터 모델의 분류 ● 저수준 또는 물리적 데이터 모델 - 어떻게 데이터가 컴퓨터에 저장되는지 세부 사항을 명시하는 개념을 제공 ● 고수준 또는 개념적 데이터 모델 -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인식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을 제공 ● 표현(또는 구현) 데이터 모델 - 고수준 모델과 저수준 모델 사이에 존재 - 일반 사용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개념을 제공 - 데이터 저장 구조의 세부 사항을 은폐하지만 컴퓨터.. 2022. 10. 5.
데이터베이스 소개 용어 ● 데이터(data) - 의미를 가지면서 기록될 수 있는 알려진 사실 ● 데이터베이스(database) - 관련 있는 데이터의 모임 ●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DBMS) - 데이터베이스의 생성과 관리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(database system) -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(DBMS, 응용 프로그램) 모두를 칭하는 용어 ● 작은 세계(mini-world) -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대상이 되는 실세계의 일부분 데이터베이스의 예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자기 기술성 (self-describing) - 데이터베이스 카탈로그(catalog)에는 메타 데이터(meta-data)가 저장되어 있으며, 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DBMS.. 2022. 10. 3.
리스트 (list) 1. 리스트 (List) ● 리스트를 사용하여 입력한 숫자들의 합을 구하기 - 공백을 두고 숫자를 입력받기 => input().split() input().split() 참고 입력 1. input() 함수 사용하기 - input()이라는 함수를 사용해 한 줄 단위로 입력받을 수 있다. - type은 문자열(str). a=input() print(f'My name is {a}') 결과 >> Tom My name is Tom ex) 숫자를 입력하여 1을 더할.. kdh9797-devwiki.tistory.com - type은 string arr=input().split() print(arr) 결과 >> 1 2 3 4 5 ['1', '2', '3', '4', '5'] - 입력한 수들의 합은 리스트의 각 원소들.. 2022. 10. 1.
다중 반복문5 (+문자열) 1. 알파벳 출력 ● 아스키코드(ASCII) - 파이썬 언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문자들은 하나의 숫자와 대응. - 알파벳 대문자, 소문자끼리는 연속한 숫자들로 매칭 - 아스키코드 값은 ord()를 사용. - ord('A') = 65 => A의 아스키코드 값은 65 - 아스키코드 값을 알고 있을 때 대응되는 문자를 알아내려면? => chr() - chr(65) = A print(ord('A')) print(chr(65)) 65 A 만약 입력한 알파벳의 다음 알파벳을 구하려면? => chr(ord(x)+1) x=input() print(chr(ord(x)+1)) >> a b Q) 정사각형 알파벳 - 자연수 n 입력. - n*n개의 정사각형 모양의 A~Z까지 출력 - Z 다음엔 A n=int(input(.. 2022. 9. 30.
다중 반복문4 1. 행, 열에 따라 숫자를 다르게 출력 Q) 좌우 반복 출력 - 1~9 숫자인 n을 입력하여 n개의 행에 숫자를 좌우로 반복하여 출력 예시) >> 4 1234 4321 1234 4321 >> 5 12345 54321 12345 54321 12345 ● 문제 접근 - 홀수 행 : 1부터 n 출력 - 짝수 행 : n부터 1 출력 n=int(input()) for i in range(1,n+1): if i%2==1: for j in range(1,n+1): print(j,end='') else: for j in range(n,0,-1): print(j,end='') print() Q) 상하 반복 출력 - 1~9 숫자인 n을 입력하여 상하로 반복하여 출력 >> 4 1414 2323 3232 4141 >> 5 .. 2022. 9. 29.